[Linux Service] 리눅스를 사용하기 위한 VMware 네트워크 설정
Linux Service

[Linux Service] 리눅스를 사용하기 위한 VMware 네트워크 설정

 

 

Linux Version - Kali_Linux_2019.02-amd64.iso
사용한 패키지 - 

 

소개

대부분의 툴 및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 상태여야 한다.

이제부터 VMware Workstation에서의 네트워크 설정법을 알아보자.

 

[Edit] - [Virtual Network Editor...]에 들어가 보자. (HotKey: Alt + E + N)

VMware에는 3가지의 VMnet이 존재한다. 차례차례 설명해보도록 하겠다.

 

먼저 Bridge 모드이다.

VMware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VMnet이라고 칭한다.

VMnet Bridge 모드는 자신의 Local PC에 장착되어 있는 네트워크 어댑터와 VMnet을 연결해 사용하는 모드이다.

Bridge 모드를 쓰면 해당 네트워크 어댑터의 네트워크 대역과 VMnet 대역이 같아지기 때문에 자주 사용하는 편이다.

Bridge 모드는 외부와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

 

이번엔 NAT 모드이다.

NAT는 Bridge와는 달리 VMware NAT 서비스를 이용해 인터넷에 연결하는 방식이다.

Local Network와 다른 대역을 갖는 게 특징이다. 설정에서 네트워크 대역을 변경할 수 있다

나는 NAT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Host-only 모드이다.

Host-only는 VMware 내부에서만 통신할 수 있는 모드이다.

같은 VMnet 번호를 주면 같은 대역임을 의미하며, 만약 대역이 같지만 VMnet 번호가 다를 경우 통신이 불가능하다.

Host-only는 외부로 통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인터넷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 글에서는 Bridge 모드를 사용해 VMware에서 리눅스를 이용한 인터넷 통신을 하는 법을 알려줄 것이다.

HotKey: Alt + E + N -> Add Network... -> VMnet15를 선택하고 OK (번호는 상관없음)

그리고 실행(Win + R)에 들어가 ncpa.cpl을 입력한다.

이더넷이라고 적혀있는 어댑터의 이름을 외워둔다. 나는 Intel(R) Ethernet Connection (2)이다.

다시 Virtual Network Editor로 돌아가 VMnet15를 Bridge로 변경하고 아까 외운 어댑터를 적용시킨다.

그리고 OK를 눌러 저장하자.

이제 Virtual Network Editor의 설정은 모두 끝났다.

자신이 사용하는 Linux로 이동해보자. 필자는 여기서 Kali-Linux를 사용했다.

Kali는 Debian 계열이기 때문에, RHEL 계열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은 나중에 게시하도록 하겠다.

 

아까 설정했던 VMnet 번호로 Network Adapter을 바꿔주자. 나는 원래 VMnet0 이기 때문에 계속 진행하겠다.

이제 Linux를 부팅하자.

로그인을 했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도록 하자.

root@kali:~# ip a

리눅스에는 기본적으로 lo + @ 어댑터가 존재한다.

loloopback을 의미하는 어댑터로 자기 자신을 의미한다.

우리가 설정해야 할 어댑터는 eth0이다.

이대로 놔둬도 통신이 가능하지만, 우리는 직접 DHCP 방식임을 적어줄 것이다. Static 방식은 나중에 적도록 하겠다.

What is DHCP & Static? URL: < 공사 중 >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자.

root@kali:~# vim /etc/network/interfaces (vim이 없다면 vi, nano로 해도 무관)

8번 밑에 다음과 같이 추가해준다.

이제 저장하고 나오도록 하자.

그 후 networking 서비스를 재시작해 우리가 했던 설정 방식을 적용시켜주자.

root@kali:~# systemctl restart networking

이제 인터넷이 가능한지 확인해보자.

root@kali:~# ping 8.8.8.8 (Ctrl + C로 탈출할 수 있다.)

사실 DNS 설정과 같은 다른 요소도 설정해주어야 하지만, DHCP 방식에서는 공유기가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기 때문에 여기서 설명하진 않겠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에 다시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다.